목록Python (7)
Data Analysis & Merketing
파이썬은 for~ else~ 문을 지원한다. 이 중 for문을 돌면서 for문 내부에서 break를 만나지 않았을 때 진행 할 동작을 제시할 수 있다. n = 10 for i in range(20): if n == i: print('here') break else: print("hi") # hi # hi # hi # hi # hi # hi # hi # hi # hi # hi # here 위 코드는 흔히 사용하는 for문 + if~ else~ 문의 형태이다. n == i 경우에 break에 걸려 반복문이 중단될 것이다. n = 10 for i in range(5): if n == i: print('here') break else: print("hi") # hi 위 코드는 else문이 for문과 같은 라인에..

1. 오른쪽 정렬 print 문으로 출력을 하면 왼쪽정렬이 되어 출력됩니다. 오른쪽 정렬을 하기 위해서는 rjust(전체자리수)를 사용합니다. [백준 2441번 : 별찍기-4] n = int(input()) r = n # rjust 안에 들어가야하는 수가 전체 자리수여야 하기 때문에 따로 지정해줌 for i in range(n): print(str('*'*n).rjust(r)) n -= 1 # n = 5인 경우 # ***** # **** # *** # ** # * 2. 왼쪽 정렬 기본적으로 왼쪽 정렬되어 출력되지만 수동으로 지정해줄 수 있습니다. 왼쪽 정렬을 하기 위해서는 ljust(전체자리수)를 사용합니다. n = int(input()) r = n # rjust 안에 들어가야하는 수가 전체 자리수여야 ..

1. 완전탐색 알고리즘이란? 완전탐색은 가능한 모든 경우의 수를 확인하여 정답을 찾는 방법이다. 이 방법은 무식한게 한다는 의미로 'Brute Force'라고도 부르며, 직관적이여서 이해하기 쉽고 문제의 정확한 결과값을 얻어낼 수 있는 가장 확실하고 기초적인 방법이다. Computer Science에서 문제 해결 알고리즘을 사용할 때는 기본적으로 2가지 규칙을 적용한다. 1. 사용된 알고리즘이 적절한가? (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가?) 2. 효율적으로 작동하는가? 위 2가지 규칙에 대해서 생각할 때, 1번을 만족하는 확실한 방법이나 대부분의 경우 2번 때문에 이 방법이 사용되는데에 제한이 따른다. 따라서 완전탐색 기법을 사용할 때에는 그 문제에 대한 파악이 중요하다. 2. 완전탐색 기법을 활용하는 방법 완..

프로그래밍 언어에서 변수를 분류하는 방법은 여러가지가 있다. 그 중에 하나로 전역변수와 지역변수의 개념이 있다. 일반적으로 전역변수는 프로그램에 혼란을 주기 때문에 권장하지 않지만 간혹 더 쉽게 코딩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하기도 한다. 함수 안의 변수들은 지역변수이므로 함수영역 밖에서는 호출하여 사용할 수 없다. def exam(): a = 3 b = 2 return a+b 위의 경우에서 변수 a, b는 지역변수이기 때문에 함수 밖 영역에서 호출하여 사용할 수 없다. 함수 밖 영역에서 사용하려면 a를 전역변수로 선언해야 한다. 전역변수로 선언하는 방법 변수명 앞에 global을 붙이는 것이다. 함수 안에서 붙여도 되고, 함수 밖에서 붙여도 된다. 하지만 함수 밖에서 선언하였다면 함수 안에서 사용을 명시해..